no |
개최일시
|
개최장소 |
주 제 |
발 표 자 |
1 |
87. 7. 16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Nursing Research,
Where Are We Reading |
불안-이소우, 이원희
동통-이은옥, 김수지
사회적지지-최영희, 오가실 |
2 |
87. 11.19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How to use
Conceptual
framework |
stress conceptual framework - 오가실
from conceptual to hypothesis - 이은옥
stress theory - 김의숙, 도복늠 |
3 |
88. 7. 1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Health Behavior :
Concept to
Measurement |
Concept Analysis : Elizabeth Choi
(Indiana University School of Nursing)
Conceptualization :
조원정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Qualitative vs Quantitative Research:
김수지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
Measuring Health Behavior in Qualitative
Research: 방매륜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
Health Behavior Measurements in Qualitative
Research :
이향련(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) |
4 |
88. 11.25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Measuring Nursing
Concepts:
What`s
the Problem |
문제제기 : 간호개념의 측정과 그 방향:
이원희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태도 및 가치관 검사의 개발과 관련된 문제 :
황응연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
가치(Value)측정-간호학에의 적용:
이경혜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
심리검사 제작과 그활용 :
서봉연(서울대학교)
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(Quality of Life):
노유자(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)
|
5 |
89. 9. 21. |
서울대학교
교수회관 |
Nursing Behavior :
Issues and
Trends |
한국적 간호개념 정립의 방향 :
하영수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
간호행위 개념의 연구 동향과 전망 :
박성애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 |
6 |
89.12.20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Instrumentation
in Nursing
Research :
Social Support |
Social Support Scale I:
서문자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
Social Support Scale II:
박지원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Social Suport Scale III:
김희순(영남공업전문대학)
Instrumentation in Nursing Research :
이은옥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 |
7 |
90. 7. 6. |
이화여자대학교
경영관 |
Academic Excellence :
Research
Perspectives in
Nursing |
<poster session>
Research perspectives of Sigma Theta Tau
International :
김수지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 |
8 |
90. 10.19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Philosophy of
Science and
Qualitative Nursing
Research |
질적(質的)연구의 철학적 배경 :
이명현(서울대학교 철학과)
사회과학에서의 민속학적 접근 :
조혜정(연세대학교 사회학과)
질적 간호의 전망 :
최남희(서울간호전문대학) |
9 |
91. 7.9. |
서울대학교
호암생활관 |
Creating Nursing`s Future through Qualitatives Research |
Grounded Theory Approach: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:
Dr. Julliet Corbin(University of California)
민속과학적 접근방법 :
김귀분(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)
Naturalistic Inquiry :
박영숙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
|
10 |
91.11.28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Phenomenological Approach in
Nursing Research |
현상학적 이해 : 이영호(성균관대학교) 현상학적 간호연구의 역사적 발전 및 전망 :
박영숙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
통증의 의미 : 은영(기독병원간호전문대학)
말기 암환자의 임종 경험:
최공옥(경기간호전문대학) |
11 |
92.6.30. |
서울대학교
호암생활관 |
Voyage into the future : Methodology In Nursing Theory |
간호과학의 철학적 배경 :
최남희(서울간호전문대학)
Parse 이론의 방법론 :
이광옥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
정신병동 입원과 관련된 청소년 환자의 분리 (分離) 경험 : 노춘희(춘천간호전문대학) |
|
92.11.24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Nursing Leadership in Transition |
Nursing Leadership in Transition :
김수지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
Pain : 이은옥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
Women`s Health : 고명숙(기독병원간호전문
대학), 김혜숙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 Social support :
김희순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 |
12 |
93. 6.11. |
연세대학교
알렌관 |
Leadership in Transition : Nursing Education |
Intrinsic Values in Profession :
이돈희(서울대학교 교육학과)
Effective Approaches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:
신경림(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) |
|
93. 9.9. -9.10. |
연세대학교
동문회관 |
국제간호학술대회
건강증진 :
간호
전문화를 위한 새
조명 |
건강증진 : 새 시대의료의 새로운 지평 : 김일순(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)
건강행위의 제 이론들/건강증진을 위한 건강
행위론 의 적용/건강교육: 간호실무에서의
건강증진 :
Mary Salazar(워싱턴대학)
동양패러다임에 반영된 건강증진의 개념 :
안규석(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)
정신건강을 위한 건강증진 정책 개발 :
Wichit Srisupan(태국 Chiang Mai 대학교
부총장)
건강증진 촉진자로서의 전문간호사 :
Faith Jones (Cumberland 대학교수) |
13 |
94.6.25. |
연세대학교
종합관 |
Nursing Research
:
The Challenge
of Communication |
Empowering Nursing Profession Through Research
: 이은옥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 |
14 |
94.12.2. |
연세대학교
종합관
301호 |
Theory-Research-Pratice 과제의 재확인 |
이론-연구-실무관계의 재확인:
김의숙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스트레스의 정의, 연구방법론 및 임상적용 :
김금순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
희망의 정의, 연구방법론 및 임상적용:
김달숙(충남대학교 간호학과) |
15 |
95. 7.1. |
서울대학교
교수회관 |
Advancing Clinical Practice through Research |
<poster presentation>
Advancing Clinical Practice through Research:
김소선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손맛사지가 방사선 요법을 받는 암환자의
불안에 미치는 영향: 박미성
(적십자간호전문대학),
서문자(서울대학교 간호대학)
혈액투석 환자에게 적용한 지시적 심상요법의
효과:
김주현(청주간호전문대학)
심장수술 환아의 흉관 제거시 통증에 대한
냉요법의 효과: 신희선(단국대학교 간호학과),
김동옥(삼성의료원), 조경미(서울대학병원)
보건진료원의 지역주민 참여 활성화 훈련
프로그램 의 효과:
오가실, 조원정,
김의숙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시설노인의 근력강화운동의 근력, 근지구력,
일상 생활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:
김희자(청주간호전문대학) |
16 |
95.12.16. |
서울대학교
간호대학
강당 |
간호진단의 조망 |
간호진단의 재조명 :
김조자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간호진단의 실제와 전망
- 연구 : 이향련 (경희대학교 간호학과)
- 임상교육 : 김용순(아주대학교병원)
- 실무: 김경남(서울대학교병원)
가족진단 개발: 김의숙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Nursing Diagnosis and Theory Development :
Hesook Suzie Kim(University of Rhode
Island) |
17
|
96. 6.13.- 6.14. |
교육문화회관 |
Advancing Clinical Practice through Research |
김모임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Melanie C. Dreher (Sigma Theta Tau
President, Massachusetts 대학)
강덕희(오하이오대학)
Nancy Dickenson(Sigma Theta Tau, Exacutive
Officer) |
18
추계 |
96.12.13. |
이화여자대학교 인문관 111호 |
노인간호와 사회적지지 |
노인의 건강과 보건정책 :
김정희(인하대학교 간호학과)
노인의 건강과 사회적지지 :
정은리(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)
한국인의 사회적지지 개념 :
김희순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한국인의 사회적지지 간호증재법 연구동향 :
정추자(국군간호사관학교)
치매노인 거주형태에 따른 간호관리의 효과
분석:
조남옥(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)
노인의 건강행위 수행실태와 이에 영향을
미치는 요인 : 오진주(단국대학교 간호학과) |
19
추계 |
97.12.29.
|
이화여자대학교
교육문화회관 101호소강당 |
Nursing Domain : Korean Perspectives
|
한국적 간호관: 이영자(인하대학교 간호학과)
韓國 看護理論 定立을 위한 연구:
신경림(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)
한국적 건강관 : 기의 전망:
김설자(동국대학교 간호학과)
|
20 |
98.7.3. |
이화여자대학교
간호과학대학 헬렌관 8층
대강당 |
Community Based Nursing Practice |
Community Nursing Practice: Past, Present and
Future : Dr. Patricia Chiverton
(University of
Rochester)
The Role of Community Nursing Centers in
the
Integration of Practice Education and
Research: Dr. Patricia Chiverton
(University of
Rochester)
|
21 |
98.12.18. |
연세대학교
간호대학
진리관 |
Nursing Outcome을 위한 전략 |
Nursing outcome: The concetps & measurement: 김소선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Case management & Critical pathway :
김기연(아주대학교 간호학과)
Cost effectiveness analysis: An approach
to
evaluating nursing outcomes :
이태화(연세대학교 간호대학)
Nursing outcome in a hospital setting :
박현주(세브란스병원)
Nursing outcome & Health policy :
유호신(고려대학교)
|
22 |
2000. 12.15 |
서울대학교
간호대학
강단 |
e-health |
간호에서의 정보기술 적용: 과거, 현재
그리고 미래-박현애 교수(서울대학교).
e-health 21세기의 의료혁명
-
우태우교수(서울대)
간호교육에서의 정보기술 적용 사례I
:CD-ROM 기반교육-김정은 교수(연세대).
간호교육에서의 정보기술 적용 사례II
:Internet 기반 교육-염영희 교수(한림대)
간호교육에서의 정보기술 활용
:Internet 기반 문헌 DB 및 자료 검색
-박현애교수
임상에서의 간호정보시술 정용
:환자분류/스케줄링-최원자 과장(서울대학교)
:EMR-정연이 관장(삼성의료원)
:물품청구-이영선 관장(중안병원)
인터넷에서 간호정보제공 사례
:간호포탈 사이트 Nurscape
-김정민(Aim Med) |
23 |
2001.7.20 |
서울대학교
간호대학
강단 |
Nursing Theories
& Nursing Education |
Nursing theories in the development of Nursing Curriculum-김혜숙 교수(Univ. of Rhode Island)
Nursing theories in implementing theoretical courses in Nursing-김혜숙 교수(Univ. of Rhode Island)
Nursing theories in relation to clinical practicum
in Nursing-김혜숙 교수(Univ. of Rhode Island) |
국제학술대회
2001.11.29~30 |
학국과학기술회관 대강단 |
Elderly Health and Nursing |
Perspectives in Elderly Nursing Care
-최영희의원
State of the Science in Gerontological Nursing Research and Education-Toni Tripp-Reimer (Univ. of Lowa)
Quality of care and geriatric Nurse Practitioners
-Eileen M. Sullivan-Marx(Univ.of Pennsylvania)
Practice of Elderly Nursing care in the 21st
century-kathleen Fritsch(WHO)
Community-based Elderly Nursing Care
-Tina Koch(Flinders University)
-Sachiyo Murashima (Univ. of TOkyo)
-김정희 교수(인하대)
Institution-based Elderly Nursing care
-Kopkul(Mahidol University)
-Li-Chan Lin(National Yang-Ming University)
-조혜숙 원장(그린 힐 Nursing home)
-Kobkul Phancharoenworakul (Mahidol University)
Closing Ceromony
Elderly Health and Nursing
-송미순교수(서울대) |
제 17회 |
2003.7.4 |
이화여자대학교 학생문화원
소극장 |
간호와 윤리 |
말기 환자에 관련되 윤리적 문제
-황상익 교수(서울대학교 의과대학)
의료과실로 인한 형사법적 문제
-손명숙 변호사(변호사 손명숙 벌률사무소)
장기이식 환자와 윤리적 문제
-하희선 장기이식코디네이터
(서울아산병원
장기이식센타) |
국제학술대회2003.11.20~21 |
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
국제 회의장 |
보완대체요법과 간호 |
Tai Chi and Well-being of Elders.
-Keui-Min Chen(Fooyin Institute of Technology)
Danjeon Breathing as Mind-Body Therapy
-현경선 교수(경희대학교 간호대학)
Students Use og Complementary and
Alternative Therapies in Nursing
-Fusako Ozaki(Niigata University)
Complementary Therapies: New Challenges for
Use of Old Therapies
-Mariah Snyder(Univ. of Minnesota)
The Korean Nursing Therapy and
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
-신경림 교수(이화여대 간호과학대학)
Nurses Role in Complementary
-전세일 교수(포천중문의대) |
제 18회 |
2004.7.2 |
이화여자대학교 이화-포스코관 B513호 |
Education-Practice Partnership |
Education-Practice Partnership
-Barbara White(Regis University)
Innovative Clinical Teaching in Norway
-Tove Giske(Bergen Deconess University)
Innovative Clinical Teaching in Korea
-김현옥 간호담당부원장
(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)
|
제 26회 |
2012.6.27 |
연세대학교 간호대학1층 진리관 |
Mixed Methods Research |
Quantitative to Qualitative
- 송라윤 교수(충남대학교 간호대학)
From Quantitative to Qualitative
- 진주혜 교수(울산대학교 간호대학)
|
제 27회 |
2013.7.5 |
서울대학교 간호대학 2층 강당 |
간호와 예술의만남 |
명화 속 건강과 간호이야기
- 이명옥(사비나 미술관 관장)
문학 작품 속의 간호이야기
- 정주아(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)
|
제 28회 |
2014.6.27 |
서울대학교 간호대학 2층 강당 |
간호학 연구 측정도구의 개발과 평가 |
심리 측정도구 개발의 원리와 절차
- 김아영 (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)
도구의 통계적 평가
- 박창기 (일리노이 대학교)
|
제 29회 |
2015.6.26 |
이화여대 국제교육관 LG컨벤션홀 |
간호연구를 위한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|
생존분석의 원리 및 활용
- 남정모 교수(연세대학교)
구조모형의 이해
- 류은정 교수(중앙대학교)
한국시그마학회의 미래
- 김수지교수(이화여대 명예교수)
|
제 30회 |
2016.6.29 |
이화여대 SK 텔레콤관 컨벤션홀 |
|
생존분석의 원리 및 활용
- 남정모 교수(연세대학교)
구조모형의 이해
- 류은정 교수(중앙대학교)
한국시그마학회의 미래
- 김수지교수(이화여대 명예교수)
|
제 31회 |
2017.6.28 |
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자유관 |
지능정보사회와 미래간호인재교육의 패러다임 |
문명전환, 대학의 위기, 교양교육-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육경험을 바탕으로-
- 유정완교수(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)
의학교육에서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
- 강화선교수(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)
지능정보사회와 간호인재상
- 이명하교수(전북대학교 간호대학)
인본주의적 관점으로 본 가상현실이용 간호교육연구의 쟁점
- 신현숙교수(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)
|
제 32회 |
2018.6.28 |
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자유관 |
Inter-Professional Education and Practice in Health Care |
보건의료분야 전문가간 교육의 전망과 필요성
- 안신기교수(연세대학교 의과대학)
SDGs 시대 다학제적 전문가 교육과 협력 - 캄보디아 교육 ODA와 소녀건강
- 김은미교수(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)
시뮬레이션 교육을 활용한 전문가간 융합교육 경향
- 노영숙 교수 (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)
인본주의적 관점으로 본 가상현실이용 간호교육연구의 쟁점
- 신현숙교수(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)
|
제 33회 |
2019.6.26 |
중앙대학교 103관 106호 |
대상자중심간호의 방향성 제고 |
다양성 존중 이론 및 관련 요인
- 김지학 소장 (한국다양성연구소)
환자경험과 서비스 디자인
- 장금성 교수 (전남대학교)
|